소라넷 46.kissjav.help ヰ 소라넷 사이트ネ 소라넷 같은 사이트ペ
페이지 정보
작성자 화수여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5-10-14 02:07조회2회 댓글0건
관련링크
-
http://93.kissjav.help
1회 연결
-
http://22.588bam3.top
1회 연결
본문
소라넷 84.yadongkorea.help ヰ 소라넷 같은 사이트フ 소라넷 최신주소ト 소라넷 우회ヂ 무료야동사이트パ 무료야동사이트ヘ 소라넷 우회ワ 소라넷 주소リ 소라넷 사이트サ 소라넷 주소シ 소라넷 새주소デ 소라넷 최신주소ク 소라넷 최신주소グ 소라넷 최신주소ェ 소라넷 링크ギ 소라넷 막힘ア 소라넷ビ 무료야동사이트ノ 소라넷 커뮤니티ベ 소라넷 새주소オ 무료야동ヰ 무료야동사이트ォ
웹툰 ‘사랑하는 나의 억압자’에서 하이너가 아네트 집 바깥에서 아네트가 연주하는 피아노 소리를 듣고 있다. 네이버웹툰 제공
작품의 사회적 가치나 정치적 역할을 중시하는 이들은 에스에프(SF·과학소설)나 판타지 장르에 과집중하는 경향이 있지 않나, 불만스러울 때가 있다. 세계관을 펼치는 것이 곧 장르의 정체성인 이들 장르는 자연스럽게 큰 규모의 이야기를 그리곤 한다. 대륙과 우주를 오가며 세계를 말하다보면 인류를 말하는 일 역시 필연적이고, 결국 우리 사회를 향해 할 말이 분명한 굵직한 작품이 되어 작품성을 인정받는다. 메시지만이 아니라 연출 면에서도 그렇다. 거대한 괴물과 싸우거나 도시 전체가 박살 난 장면을 그리기 위해 구도를 원경으로 담아내는 일케이디씨 주식
이 잦다. 한없이 작은 축척으로 그려진 광활한 세계를 보고 있자면, 체급에 압도돼 작품을 인정하게 된다.
‘작은’ 이야기는 정말 작은가
싫은 것은 아니나 불만스러운 것은, 그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이야기의 위상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예컨대 심사를 하다보면, 마음에 들어차는 로맨스 작품을 만나도 과연 내가 던지는 한무료야마토
표가 끝까지 유효표로 작용할지 의심스러울 때가 많다. 미시 서사보다는 거시 서사가 인정받는 것이 좀더 보편적인 기준임을 알기 때문이다. 어째서 로맨스는 판타지나 에스에프만큼 인정받지 못할까. 여성의 장르라서? 너무 사적인 이야기여서? 충분히 정치적이지 못해서? 그런데 사랑에 빠진 개인을 그리는 일은 정말로 세계를 지키는 데 무력하기만 한가. 네이버웹툰 ‘삼성카드 주식
사랑하는 나의 억압자’(글·글림 리코, 원작 서사희, 2024~2025년 연재)는 그 질문에 단호히 ‘아니요’라고 대답할 수 있게 하는 작품이다.
이야기는 하이너와 아네트의 파탄 난 결혼생활에서 시작한다. 아네트는 왕가의 혈통이자 후작인 군부 대장의 딸로, 아버지의 부하이던 하이너와 사랑 넘치는 연애 끝에 결혼했다. 하지만 사실 하이너는 에스엘 주식
아네트의 아버지에게 오랜 증오심을 품어왔다. 후작은 빈민가 아이들을 스파이로 길러내는 섬을 관리했고, 하이너가 바로 그 훈련소 출신이기 때문이다. 하이너는 훈련이란 명목하에 살인이 일상인 혹독한 시간을 보냈다. 적군에게 포로로 잡혀 동료들은 전부 죽어 나갔고, 훈련소 시절보다 더 지독하게 고문에 시달리는 시간을 견뎌야 했다.
아네트는 그런정상제이엘에스 주식
증오의 시간 속에서 하이너가 만난 유일한 구원 같은 존재였다. 어린 하이너는 훈련소 우등생에게 주어진 특혜로 후작 저택에 초대받는다. 그곳에서 우연히 피아노를 연주하는 아네트를 보고 사랑에 빠졌다. 피와 비명으로 얼룩진 자신의 삶과 달리, 아네트의 삶은 피아노 선율만이 울려 퍼지는 희고 아름다운 세계에 놓여 있었다. 생의 모든 시간이 폭력과 착취에 떠밀려 낭떠러지와 다름없던 하이너는, 저택의 천장에 그려진 성녀의 그림을 보고 느꼈던 환희와 경외를 아네트에게 투영한다. 아네트는 이야기 한번 나눠본 적 없는 채로 환상 속에서 표백되고 부풀려진 뒤, 하이너가 생사기로에 놓일 때마다 살아갈 이유이자 버틸 힘이 돼준다.
‘환상’이나 ‘표백’이란 말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아네트를 향한 하이너의 사랑은 크게 왜곡돼 있었다. 그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사랑이라기보다 종교적 믿음에 가깝기에 차라리 파탄 나는 것이 나아 보이고, 실제 작품은 그렇게 전개된다. 두 사람의 관계를 완전히 산산조각 내고 바닥까지 끌어내린 뒤, 서로의 상처와 한계를 이해하고 완전히 대등한 사이로 마주 서기까지 아주 긴 시간을 돌아 간다. 하이너는 자신의 삶을 망가뜨린 국가와 이에 가담한 후작을 증오하고, 아네트가 그런 후작의 보호 아래 안온하게 살아왔음을 알자 그녀를 사랑하면서도 증오하게 된다. 그 혼란스러운 과정에서 아네트와 자기 자신을 거의 복구할 수 없을 만큼 상처 입히기도 한다. ‘사랑하는 나의 억압자’는 사랑에 빠진 주인공을 그리면서도, 사랑의 성취보다 실패를 그리는 데 주목한다. 폭력과 절망으로 삶이 망가진 이가 사랑에서도 어떻게 불능이 되는지를 묘사함으로써, 그렇다면 무엇을 지켜야 했는지를 묻게 한다.
허황하지도 공허하지도 않은 ‘평화’
전쟁이 끝난 뒤, 하이너는 국제의료기구 표장이 새겨진 건물을 공격하지 못하게 하는 조약을 체결한다. 종군간호사로 복무하던 아네트를 떠올리며 넣은 조항이었다. 사랑이 개입된 정치라니 낭만적으로 들릴 수도 있지만, 전쟁으로 너무 많은 것을 잃어본 이가 최소한의 안전망을 마련하려 애쓰는 모습은 전혀 비현실적으로 느껴지지 않는다. 작품을 읽은 독자는 그 이유를 한 사람의 구체적인 얼굴로 떠올릴 수 있다. 그리고 그 구체성 덕분에, 지난한 서사를 거쳐 도착한 ‘평화’라는 말이 허황하지도 공허하지도 않게 들린다. 어쩌면 평화란 거창한 무엇이 아니라,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면 심상히 흘려보냈을 다정하고도 지루한 하루하루라는 것. 그러나 그 평범한 시간이 누군가의 일상에선 뜯겨 나갔을 수 있다는 것. 작품은 전쟁의 폭력성을 이런 방식으로 증언한다.
거대하고 굵직한 서사가 성큼성큼 사건을 전개하며 인류와 세계를 말할 때, 로맨스는 한 인간의 삶에서 아주 멀리 나가지 않는다. 그 작은 규모의 시야와 거리감 안에서만 가능한 이야기가 있다. 로맨스는 한 사람의 삶에서 유난히 사랑스럽고 찬란한 순간과 보드랍고 친밀한 일상을 그려내는 장르다. 그래서 그것들이 망가질 때의 파열음과 고통을 다른 어떤 장르보다 선명하게 그려내는 장르이기도 하다. 포탄의 굉음이 남긴 상처를 규모의 문제로만 가늠하는 시야로는 전쟁의 풍경을 온전히 그려낼 수 없다. 우리 삶에서 무엇이 뜯겨 나갔는지를 이야기하려면 아주 작은 장면만이 포착될지라도 더 가까운 시선이 필요하다.
‘사랑하는 나의 억압자’를 끝까지 다 읽어도, 이것이 거대한 이야기라는 인상은 남지 않는다. 전쟁의 승패나 세력의 규모 같은 것은 이 작품에서 중요한 사안이 아니다. 전쟁의 경과를 요약된 연표로 제시하는 마지막 화의 연출은 그러한 작품의 태도를 단적으로 드러낸다. “대륙 전쟁의 서막을 알리는 겨울 전쟁이 발발했다.” “헌팅엄 교회 학살 사건이 발생했다.” “종전이 선언되었다.” 마치 박물관이나 교과서에서 심상히 보고 넘겼던 와닿지 않는 역사 속 사실관계처럼 그 어떤 과시도 전시도 없이 건조하게 나열돼 있을 뿐이다. 그러나 하이너와 아네트의 이야기를 근경에서 지켜본 독자에게 그 문장들은 파노라마처럼 선명하게 읽힌다. “산타몰리의 마을 교회에서 작은 결혼식이 열렸다”는 문장이 누군가의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순간임을 짐작할 수 있다.
우리가 지나치는 역사 속 개인들을 묻다
그래서 이 작품을 다 읽을 때쯤 자연히 이런 질문에 도착한다. 우리가 지나치는 역사서와 기사들에는 얼마나 많은 삶이 담겨 있을까. 그 삶 안에는 또 얼마나 많은, 각자의 방식으로 빛나고 일그러진 사랑이 담겨 있을까. 사랑에 빠진 개인을 그려내는 일이 정치적인 것은, 바로 이런 질문에 도달하게 하기 때문이다.
최윤주 만화평론가
*현실 연애엔 무관심하면서도 로맨스 만화는 가세가 기울 만큼 읽어왔다. 그 경력을 살려 다양한 관점에서 로맨스 만화를 읽어보려 한다. 6주마다 연재.
네이버웹툰 제공
작품의 사회적 가치나 정치적 역할을 중시하는 이들은 에스에프(SF·과학소설)나 판타지 장르에 과집중하는 경향이 있지 않나, 불만스러울 때가 있다. 세계관을 펼치는 것이 곧 장르의 정체성인 이들 장르는 자연스럽게 큰 규모의 이야기를 그리곤 한다. 대륙과 우주를 오가며 세계를 말하다보면 인류를 말하는 일 역시 필연적이고, 결국 우리 사회를 향해 할 말이 분명한 굵직한 작품이 되어 작품성을 인정받는다. 메시지만이 아니라 연출 면에서도 그렇다. 거대한 괴물과 싸우거나 도시 전체가 박살 난 장면을 그리기 위해 구도를 원경으로 담아내는 일케이디씨 주식
이 잦다. 한없이 작은 축척으로 그려진 광활한 세계를 보고 있자면, 체급에 압도돼 작품을 인정하게 된다.
‘작은’ 이야기는 정말 작은가
싫은 것은 아니나 불만스러운 것은, 그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이야기의 위상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예컨대 심사를 하다보면, 마음에 들어차는 로맨스 작품을 만나도 과연 내가 던지는 한무료야마토
표가 끝까지 유효표로 작용할지 의심스러울 때가 많다. 미시 서사보다는 거시 서사가 인정받는 것이 좀더 보편적인 기준임을 알기 때문이다. 어째서 로맨스는 판타지나 에스에프만큼 인정받지 못할까. 여성의 장르라서? 너무 사적인 이야기여서? 충분히 정치적이지 못해서? 그런데 사랑에 빠진 개인을 그리는 일은 정말로 세계를 지키는 데 무력하기만 한가. 네이버웹툰 ‘삼성카드 주식
사랑하는 나의 억압자’(글·글림 리코, 원작 서사희, 2024~2025년 연재)는 그 질문에 단호히 ‘아니요’라고 대답할 수 있게 하는 작품이다.
이야기는 하이너와 아네트의 파탄 난 결혼생활에서 시작한다. 아네트는 왕가의 혈통이자 후작인 군부 대장의 딸로, 아버지의 부하이던 하이너와 사랑 넘치는 연애 끝에 결혼했다. 하지만 사실 하이너는 에스엘 주식
아네트의 아버지에게 오랜 증오심을 품어왔다. 후작은 빈민가 아이들을 스파이로 길러내는 섬을 관리했고, 하이너가 바로 그 훈련소 출신이기 때문이다. 하이너는 훈련이란 명목하에 살인이 일상인 혹독한 시간을 보냈다. 적군에게 포로로 잡혀 동료들은 전부 죽어 나갔고, 훈련소 시절보다 더 지독하게 고문에 시달리는 시간을 견뎌야 했다.
아네트는 그런정상제이엘에스 주식
증오의 시간 속에서 하이너가 만난 유일한 구원 같은 존재였다. 어린 하이너는 훈련소 우등생에게 주어진 특혜로 후작 저택에 초대받는다. 그곳에서 우연히 피아노를 연주하는 아네트를 보고 사랑에 빠졌다. 피와 비명으로 얼룩진 자신의 삶과 달리, 아네트의 삶은 피아노 선율만이 울려 퍼지는 희고 아름다운 세계에 놓여 있었다. 생의 모든 시간이 폭력과 착취에 떠밀려 낭떠러지와 다름없던 하이너는, 저택의 천장에 그려진 성녀의 그림을 보고 느꼈던 환희와 경외를 아네트에게 투영한다. 아네트는 이야기 한번 나눠본 적 없는 채로 환상 속에서 표백되고 부풀려진 뒤, 하이너가 생사기로에 놓일 때마다 살아갈 이유이자 버틸 힘이 돼준다.
‘환상’이나 ‘표백’이란 말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아네트를 향한 하이너의 사랑은 크게 왜곡돼 있었다. 그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사랑이라기보다 종교적 믿음에 가깝기에 차라리 파탄 나는 것이 나아 보이고, 실제 작품은 그렇게 전개된다. 두 사람의 관계를 완전히 산산조각 내고 바닥까지 끌어내린 뒤, 서로의 상처와 한계를 이해하고 완전히 대등한 사이로 마주 서기까지 아주 긴 시간을 돌아 간다. 하이너는 자신의 삶을 망가뜨린 국가와 이에 가담한 후작을 증오하고, 아네트가 그런 후작의 보호 아래 안온하게 살아왔음을 알자 그녀를 사랑하면서도 증오하게 된다. 그 혼란스러운 과정에서 아네트와 자기 자신을 거의 복구할 수 없을 만큼 상처 입히기도 한다. ‘사랑하는 나의 억압자’는 사랑에 빠진 주인공을 그리면서도, 사랑의 성취보다 실패를 그리는 데 주목한다. 폭력과 절망으로 삶이 망가진 이가 사랑에서도 어떻게 불능이 되는지를 묘사함으로써, 그렇다면 무엇을 지켜야 했는지를 묻게 한다.
허황하지도 공허하지도 않은 ‘평화’
전쟁이 끝난 뒤, 하이너는 국제의료기구 표장이 새겨진 건물을 공격하지 못하게 하는 조약을 체결한다. 종군간호사로 복무하던 아네트를 떠올리며 넣은 조항이었다. 사랑이 개입된 정치라니 낭만적으로 들릴 수도 있지만, 전쟁으로 너무 많은 것을 잃어본 이가 최소한의 안전망을 마련하려 애쓰는 모습은 전혀 비현실적으로 느껴지지 않는다. 작품을 읽은 독자는 그 이유를 한 사람의 구체적인 얼굴로 떠올릴 수 있다. 그리고 그 구체성 덕분에, 지난한 서사를 거쳐 도착한 ‘평화’라는 말이 허황하지도 공허하지도 않게 들린다. 어쩌면 평화란 거창한 무엇이 아니라,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면 심상히 흘려보냈을 다정하고도 지루한 하루하루라는 것. 그러나 그 평범한 시간이 누군가의 일상에선 뜯겨 나갔을 수 있다는 것. 작품은 전쟁의 폭력성을 이런 방식으로 증언한다.
거대하고 굵직한 서사가 성큼성큼 사건을 전개하며 인류와 세계를 말할 때, 로맨스는 한 인간의 삶에서 아주 멀리 나가지 않는다. 그 작은 규모의 시야와 거리감 안에서만 가능한 이야기가 있다. 로맨스는 한 사람의 삶에서 유난히 사랑스럽고 찬란한 순간과 보드랍고 친밀한 일상을 그려내는 장르다. 그래서 그것들이 망가질 때의 파열음과 고통을 다른 어떤 장르보다 선명하게 그려내는 장르이기도 하다. 포탄의 굉음이 남긴 상처를 규모의 문제로만 가늠하는 시야로는 전쟁의 풍경을 온전히 그려낼 수 없다. 우리 삶에서 무엇이 뜯겨 나갔는지를 이야기하려면 아주 작은 장면만이 포착될지라도 더 가까운 시선이 필요하다.
‘사랑하는 나의 억압자’를 끝까지 다 읽어도, 이것이 거대한 이야기라는 인상은 남지 않는다. 전쟁의 승패나 세력의 규모 같은 것은 이 작품에서 중요한 사안이 아니다. 전쟁의 경과를 요약된 연표로 제시하는 마지막 화의 연출은 그러한 작품의 태도를 단적으로 드러낸다. “대륙 전쟁의 서막을 알리는 겨울 전쟁이 발발했다.” “헌팅엄 교회 학살 사건이 발생했다.” “종전이 선언되었다.” 마치 박물관이나 교과서에서 심상히 보고 넘겼던 와닿지 않는 역사 속 사실관계처럼 그 어떤 과시도 전시도 없이 건조하게 나열돼 있을 뿐이다. 그러나 하이너와 아네트의 이야기를 근경에서 지켜본 독자에게 그 문장들은 파노라마처럼 선명하게 읽힌다. “산타몰리의 마을 교회에서 작은 결혼식이 열렸다”는 문장이 누군가의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순간임을 짐작할 수 있다.
우리가 지나치는 역사 속 개인들을 묻다
그래서 이 작품을 다 읽을 때쯤 자연히 이런 질문에 도착한다. 우리가 지나치는 역사서와 기사들에는 얼마나 많은 삶이 담겨 있을까. 그 삶 안에는 또 얼마나 많은, 각자의 방식으로 빛나고 일그러진 사랑이 담겨 있을까. 사랑에 빠진 개인을 그려내는 일이 정치적인 것은, 바로 이런 질문에 도달하게 하기 때문이다.
최윤주 만화평론가
*현실 연애엔 무관심하면서도 로맨스 만화는 가세가 기울 만큼 읽어왔다. 그 경력을 살려 다양한 관점에서 로맨스 만화를 읽어보려 한다. 6주마다 연재.
네이버웹툰 제공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